너와 나의 연결 도크(DOCK) ::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1~45번)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1~45번)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1~45번)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제3과목: 선체구조학-

 
 
 
 
 
 
 
 
 
 
 
 
 

 

41. 선체 전수선저부의 보강구조는?

 

 

 

. 팬팅구조 

 

. 덕트킬

 

. 혼합식 구조 

 

. 이중저구조

 

 

 

 

 

 

 

 

 

 

 

해설: 선수부 보강구조는 팬팅구조(Panting stringer)이다.

 

 

 

 

 

 

 

 

 

42. 다음 갑판 중 기능상 그 성질이 다른 것은?

 

 

 

. 건현갑판 

 

. 상갑판 

 

. 격벽갑판 

 

. 대갑판

 

 

 

 

 

 

 

 

 

 

 

 

해설건현갑판, 상갑판, 격벽갑판은 수밀이 되는 Deck Beam이다

 

대갑판은 처음 들어봐서 찾아봤는데..여기서 Big이 아니고

 

무대받침대의 뜻인 platform의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platform deck 라고 하면, 비수밀의 비강도부재의 Deck이다

 

주로..계단?이나 층?을 나누는 Deck platform deck라고 한다.

 

 

 

 

 

 

 

 

 

 

 

43. 선박에서 새깅과 호깅상태의 응력을 담당하는 부재가 아닌 것은?

 

 

 

. 용골 

. 중심선 거더 

. 늑판 

. 상갑판

 

 

 

 

 

 

 

 

 

 

 

해설: 새깅과 호깅은 종강도와 관련이 있음

 

종강도와 관련없는 부재는 늑판(Floor plate)이다.

 

 

 

 

 

 

 

 

 

 

 

44. 살물 운반선(bulk carrier)에서 갑판하의 선측 탱크(side tank)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 화물의 이동 공간을 적게하여 복원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 종강도를 크게 하여 굽힘모멘트에 대처하기 위함이다

 

 

. 발라스트용으로 사용할 때 중심을 좀 더 낮추기 위함이다.

 

 

. 화물의 하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해설: 갑판하의 선측에 위치한 탱크는 일반적으로 Ballast용으로 사용하며

 

Top side ballast tank라고 함. 화물의 하역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선저부의 Hopper Tank이다.

 

 

 

 

 

 

 

 

 

45. 표준 늑골심거(frame space)?

 

 

. 두 늑골 중심에서 중심까지

 

. 한 늑골의 배면에서 다음 늑골의 배면까지

 

. 한 늑골의 배면에서 다음 늑골의 앞면까지

 

 

. 한 늑골에서 다음 늑골까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