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나의 연결 도크(DOCK) :: 2017년도 조선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71~80번)

2017년도 조선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71~80번)

2017년도 조선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71~80번)

 

 

 

 

 

 

 

 


<2017년도 조선기사> 

 

 

 

 






-제4과목 선체의장 및 선체구조역학-

 

 

 

 

 

 

 

71. 선체를 하나의 환구조물로 간주하고 박막유사(Membrane analogy)법칙을 적용하면 한 요소에 작용하는 비틀림 응력은? (, t: 판의 두께, A: 환으로 둘러싸인 면적, MQ: 토크이다.)

 

 

 

 

 

 

 

 

72. 이중저(Double bottom)구조를 가진 선체의 단면에서 최대굽힘응력이 발생하는 곳은?

 

1) 중립축 부근의 부재

2) 최하층 선저부 부재

3) 최상층 갑판부 부재

4) 선체 깊이의 중간 부근의 부재

 

 

 

 

 

 

 

73. 균일한 크기의 4개 화물창을 갖는 길이 40m인 부선이 정수 중에 떠 있다.

자중은 무시하고 1000ton의 화물이 부선의 양단 2개의 화물창에 균일하게 적재되어 있다면 종강도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중력가속도는 10m/s2이다)

 

1) 하중은 양단 2개 화물창에는 아랫방향으로, 중앙 2개 화물창에는 상방향으로 0.25MN/m 이 작용한다.

2) 최대 종굽힘모멘트는 전단력이 0인 바지선 중앙에 나타나고, 25.0MM*m이다.

3) 종굽힘모멘트곡선의 변곡점은 선수미 양단으로부터 각각 10m 위치에 발생하고 그 크기는 15.0MM*m이다.

4) 최대 전단력은 선수미 양단으로부터 각각 10m 위치에 2.5MN가 발생한다.

 

 

 

 

 

전단력 - 굽힘모멘트 선도

 

 

 

 

 

 

 

74. 선박이 항해중 황천을 만나면 심한 횡요 및 종요로 인하여 선수부와 선미부가 큰 파랑의 충격을 받는다. 이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1) 선저외판의 기복

2) 늑판과 거더의 변경

3) 선체 각 부분의 좌굴

4) 선수 선미부의 부식의 증가

 

 

 

 

 

 

 

75. 선박의 응력집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응력이 걸린 부재에 불연속이 있으면 발생된다.

2) 주변 구조에 비해 지나치게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3) 창구, 출입구 등 선체구조의 각종 구멍은 응력 집중의 주요 원인이 된다.

4) 선체구조의 각종 구멍 모퉁이에서 잘 발생되며, 파단의 원인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해설: 응력집중은 주변 구조에 비해 지나치게 응력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76. 선체에 작용하는 국부하중 충 충격하중에 해당하는 것은?

 

1) 화물하중

2) 슬로싱하중

3) 선체자중

4) 건조시의 하중

 

 

 

 

 

해설: 슬로싱(Sloshing) 하중, 액체화물이 저장된 화물탱크 내에서 움직이며 탱크 내벽을 강타하는 현상으로 충격하중에 해당한다.

 

 

 

 

 

 

 

77. 종강도 곡선 중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각 횡단면의 중량과 부력의 차이를 나타낸 곡선은?

 

1) 하중곡선

2) 전단력곡선

3) 굽힘모멘트곡선

4) 국힘응력곡선

 

 

 

 

 

해설: 중량곡선 – 부력곡선 = 하중곡선

 

 

 

 

 

 

 

78. 다음 중 비틀림 강도에 취약한 선박은?

 

1) Bulk Carrier

2) Crude Oil Tanker

3) General Cargo Vessel

4) Hatchcoverless Container

 

 

 

 

 

 

 

79. 정수 및 파랑 중 선박의 종강도 해석에 의한 굽힘모멘트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파랑에서의 전체 굽힘모멘트는 정수 중 굽힘모멘트 보다 파랑에 의한 굽힘모멘트 성분에 크게 지배된다.

2) 날씬한 선형의 고속 여객선에서는 중앙부 부력이 크기 때문에 호깅모멘트가 더욱 커진다.

3) 파랑 중 굽힘모멘트는 하중분포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4) 여객선은 대양을 항해하는 화물선의 경우와 같이 최대 굽힘모멘트는 새깅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해설: 중앙부 부력이 크면 호깅모멘트가 커진다.

 

 

 

 

 

 

 

 

80. 다음 중 선체의 횡강도 변형을 가장 크게 유발하는 현상은?

 

1) Racking

2) Heaving

3) Panting

4) Sagging

 

 

 

 

 

해설: 래킹현상(Racking), 선박이 파랑 또는 Rolling현상에 의해서 좌/우현 흘수가 달라지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외판과 갑판부에 변형이 발생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