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1~50번)
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1~50번)
<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제3과목 선체구조학-
41. 화학제품운반선에서 격벽의 설치 위치에 파형격벽을 활용하는 이유는?
1) 용적을 늘이기 위하여
2)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3)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4) 크리닝(Clean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해설: 파형격벽(Corrugated BHD), 별도의 보강재 없이 강판을 굴곡시켜 보강재를 생략한다. 작업량이 감소. 강재중량 감소. 화물적재가 용이하나 적재공간이 감소함.
42. 선박의 선수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축 지주(Shaft strut)
2) 벨 마우스(Bell mouth)
3) 체인 로커(Chain locker)
4) 호저 파이프(hawser pipe)
해설: 축 지주(Shaft strut), 프로펠러 샤프트를 지지하는 보강재로 선미부에 설치된다.
43. 이중저 (Double bottom)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저판, 늑판, 중심선거더 또는 측면거더 등으로 구성된 구조이다.
2) 이중저는 선저를 보호하고 선내로 해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3) 이중저 내를 관통하는 중요한 종강도 부재는 늑판이다.
4) 선저구조의 강도와 작업 시 통행여부에 따라 이중저구조의 깊이가 결정된다.
해설: 늑판(Floor)는 횡강도 부재이다.
44. 다음 중 수밀 횡격벽의 중요한 역할이 아닌 것은?
1) 화재가 다른 구획으로 번지는 것을 지연시킨다.
2) 인접하는 구획의 침수를 방지한다.
3) 선체의 종강도를 높이고 국부하중을 지지한다.
4) 화물을 성질별로 나누어 적재할 수 있다.
해설: 횡격벽은 횡강도를 증가시킨다.
45. 다음 중 굽힘모멘트와 비틀림모멘트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경우는?
1) 공선으로 파랑중에 있을 때
2) 공선으로 정수중에 있을 때
3) 만선으로 정수중에 있을 때
4) 만선으로 파랑중에 있을 때
46. 그림은 길이 10m의 바지(Barge) 중앙에 중량물이 위치한 것을 간이화한 것으로 이때 바지의 중앙에 걸리는 선체의 세로종굽힘모멘트는 몇 ton-m 인가? (단, 바지 자체의 중량은 무시하고 하부의 하중은 해수의 부력에 해당한다.)
1) 10.0
2) 12.5
3) 25.0
4) 50.0
해설: 전단력선도와 굽힘모멘트선도는 아래와 같다.
47. 다음 중 횡강도에 기여하는 부재가 아닌 것은?
1) 갑판보
2) 특설늑골
3) 갑판 거더
4) 횡격벽
해설: 갑판거더는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종강도 부재이다.
48. 타심재와 키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러더의 구조부재는?
1) 러더 암(Rudder Arm)
2) 최하 거전(Heel Gudgeon)
3) 러더 핀틀(Rudder Pintle)
4) 로킹 핀틀 (Locking Pintle)
49. 다음 중 일반적으로 두께가 가장 얇은 선체 외판은?
1) 용골(keel plate)
2) 선측외판 (side plate)
3) 현측후판 (sheer strake)
4) 선저외판 (bottom plate)
해설: 각 구조의 명칭은 아래와 같다.
50. 다음 중 횡강도 부재이면서 종강도 부재 역할도 하는 것은?
1) 종격벽
2) 갑판
3) 횡격벽
4) 마진판
해설: 종격벽->종강도, 갑판->종/횡강도, 횡격벽->횡강도, 마진판->종강도
'조선공학 > 조선산업기사-2018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31~40번) (0) | 2020.04.23 |
---|---|
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21~30번) (0) | 2020.04.21 |
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11~20번) (0) | 2020.04.19 |
2018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1~10번) (0) | 202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