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61~70번)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61~70번)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제4과목: 조선공작법 및 선박동력장치-
61. 공기표준 내연기관 사이클에서 공급 열량, 초압 및 초온과 압축비가 같을 때,
각 이론 열효율의 순서가 높은 것부터 옳게 나열된 것은 ?
(단, 오토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 : η tho
디이젤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 : η thd
사바데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 : η ths )
가. ηths>ηthd>ηtho
나. ηtho>ηths>ηthd
다. ηtho>ηthd>ηths
라. ηths>ηtho>ηthd
62. 다음과 같이 용접방향과 용착방향이 반대인 용접법은?
가. 전진법
나. 대칭법
다. 후퇴법
라. 비석법
63. 선박 건조의 공작관리도표를 작성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 생산성
나. 관리성
다. 기술성
라. 경제성
64. 프로펠러의 캐비테이션 원인이 아닌 것은?
가. 형상이 불량할 때
나. 날개 끝이 얇을 때
다. 회전속도가 임계치 이상일 때
라. 수면 가까이서 회전할 때
해설: 공동현상(Cavitation), 프로펠러가 액체속에서 회전할 때,
액체의 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낮아져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
날개 끝이 얇으면 캐비테이션이 감소한다.
65. 경사선대에서 선박을 진수할 경우 진수계산 항목이 아닌 것은?
가. 선미부양까지의 활주거리
나. 포핏에 작용하는 압력
다. 진수 후의 흘수
라. 자유부양 후의 선박 속도
66. 필렛 용접이음에서 틈새가 3 ∼ 4 mm 정도로 발생했다. 이 경우 보정 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라이너 삽입 용접
나. 뒷면 댐쇠 사용 용접
다. 푹 150 ∼ 200 mm 취환
라. 다리길이(각장)를 증가시켜 용접
해설: 일반적인 Fillet용접의 적정 Gap은 0~2mm이다.
취부 후 Gap이 이를 초과한 경우 아래 표와 같이 각장 증가/ 이면 댐쇠(Backing Material)/ Insert Plate 삽입을 한다.
보기에 <다. 푹 150 ∼ 200 mm 취환>은 아래 규정상 Min.300mm 에 위반됨을 참고.
67. 열간가공은 강재를 가열하여 해머 등으로 외력을 가하여 가공을 하는 방법이다.
이 때 가능한 피해야 하는 가열 온도의 범위는?
가. 950 ℃ 이상
나. 850 ∼ 900 ℃
다. 250 ∼ 450 ℃
라. 250 ℃ 미만
68. 직접 분사식 디젤 기관의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비교적 폭발압력이 낮다.
나. 연소실 표면적이 가장 작다.
다. 구조가 간단하다.
라. 분사압력은 200 kg/cm2 이상이다.
해설: 가솔린 대비 폭발압력이 2배이상 높다.
69. 선체 건조 작업시 스트롱 백(strong back)이란?
가. 용접시 루트부의 과용융으로 인한 용락을 방지하기 위해 이음부 뒤편에 대는 백킹판
나. 용접시 변형을 방지하거나 이음부 판재의 상대위치를 정확히 하기 위해 사용하는 판
다. 고소 작업시에 작업이 가능하도록 임시로 붙이는 발판
라. 용접의 시작부와 끝부분에 결함이 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판 시작부 및 끝부에 부착하는 작은 판
해설: 스트롱백(Strong Back), 주로 블록 탑재시 블록간 Alignment 를 맞추고,
용접변형을 방지하기위해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70. 건조 선대(dry dock)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먼저 건조되는 선박의 건조와 병행하여 다음 건조될 선박의 선미부를 선대에서 같이 건조하는 건조법은?
가. 횡이동법
나. 압출식 건조법
다. 쎄미탄뎀법
라. 2중 건조법
'조선공학 > 조선산업기사-200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71~80번) (0) | 2020.04.02 |
---|---|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56~60번) (0) | 2020.03.31 |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51~55번) (0) | 2020.03.30 |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6~50번) (0) | 2020.03.28 |
2002년도 조선산업기사 기출문제 및 해설(41~45번) (0) | 2020.03.27 |